1. 리버스 빌리지 고가의 질주 트랙 분석
리버스 공사장, 그리고 리버스 붐힐에서는.. 한박자 빠른 드립을 계속 강조를 했는데요..
이 맵은 하시던 대로 하시면 되는 그런 맵 입니다.
다른 리버스 스피드 맵에서는 없었던 속도 증가 구간(?)이 이 맵에서는 3번 나오게 됩니다.
이 곳을 타는 데 성공하냐, 못하냐에 승부가 달려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.
다른 리버스 스피드 맵들은 정방향보다 완주에 걸리는 시간이 긴 것에 반해서
속도 증가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맵은 정방향 보다 빠르게 도실 수 있습니다.
이 맵에서 주의 해야할 부분이라면 고가 진입과 나올 때 드럼통들이 존재하는데..
멀티플레이를 할 때는 사고가 잘 난다는 점입니다.
고가를 통과한뒤 90도 구간을 두 군데 통과하시면 큰 내리막이 있는데...
초보 분들은 드립을 하실 때 이 곳에서 실수가 조금 있더라고요 ^^
비교적 쉬운 트랙이니 적응이 쉬우실 것으로 생각됩니다.
2. 리버스 빌리지 고가의 질주 빌드 설명
이 맵의 빌드 싸움의 관건은 속도 증가 구간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 가에
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옛날 프리리버스 시절에 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3번째 고가에서의 속도 증가 구간에서
부스터를 1~2개를 쓰시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. (당시 세프만 존재..)
하지만 저 같은 경우 3번째 고가 속도 증가 구간에서는 오히려 노부스터로 간 뒤
그 후 구간에서 더 많은 부스터로 역전을 하는 플레이를 했습니다.
속도 증가 구간에 먼저 진입만 하면 부스터를 쓰지 않아도 뒤의 사람이 추월이 힘들죠 ^^
하지만 pxt의 경우 부스터가 길고 한 이유로 그 구간에서 부스터를 쓰지 않으면 후반부에
부스터가 남아 쓸 곳이 없어서 3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 부스터를 사용했습니다.
하지만 2번째 속도 증가 구간 전에 부스터를 쓰시고 2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서 커팅을
하신 뒤 3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서는 부스터를 쓰지 않는 방법도 좋을 듯 하네요.
그 외의 빌드 설명은 필요 없을 듯 합니다.
이만 줄이려고 합니다. ^^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
리버스 공사장, 그리고 리버스 붐힐에서는.. 한박자 빠른 드립을 계속 강조를 했는데요..
이 맵은 하시던 대로 하시면 되는 그런 맵 입니다.
다른 리버스 스피드 맵에서는 없었던 속도 증가 구간(?)이 이 맵에서는 3번 나오게 됩니다.
이 곳을 타는 데 성공하냐, 못하냐에 승부가 달려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.
다른 리버스 스피드 맵들은 정방향보다 완주에 걸리는 시간이 긴 것에 반해서
속도 증가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맵은 정방향 보다 빠르게 도실 수 있습니다.
이 맵에서 주의 해야할 부분이라면 고가 진입과 나올 때 드럼통들이 존재하는데..
멀티플레이를 할 때는 사고가 잘 난다는 점입니다.
고가를 통과한뒤 90도 구간을 두 군데 통과하시면 큰 내리막이 있는데...
초보 분들은 드립을 하실 때 이 곳에서 실수가 조금 있더라고요 ^^
비교적 쉬운 트랙이니 적응이 쉬우실 것으로 생각됩니다.
2. 리버스 빌리지 고가의 질주 빌드 설명
이 맵의 빌드 싸움의 관건은 속도 증가 구간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 가에
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옛날 프리리버스 시절에 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3번째 고가에서의 속도 증가 구간에서
부스터를 1~2개를 쓰시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. (당시 세프만 존재..)
하지만 저 같은 경우 3번째 고가 속도 증가 구간에서는 오히려 노부스터로 간 뒤
그 후 구간에서 더 많은 부스터로 역전을 하는 플레이를 했습니다.
속도 증가 구간에 먼저 진입만 하면 부스터를 쓰지 않아도 뒤의 사람이 추월이 힘들죠 ^^
하지만 pxt의 경우 부스터가 길고 한 이유로 그 구간에서 부스터를 쓰지 않으면 후반부에
부스터가 남아 쓸 곳이 없어서 3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 부스터를 사용했습니다.
하지만 2번째 속도 증가 구간 전에 부스터를 쓰시고 2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서 커팅을
하신 뒤 3번째 속도 증가 구간에서는 부스터를 쓰지 않는 방법도 좋을 듯 하네요.
그 외의 빌드 설명은 필요 없을 듯 합니다.
이만 줄이려고 합니다. ^^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